창원시 진해구 시민 일부가 "창원시 통합 1주년 여론조사에는 현장 민심이 반영돼 있지 않다"고 꼬집었다.
희망진해사람들 이종면·조광호 공동대표와 진해여성회 김미연 회장, 국민참여당 진해위원회 차흥만 위원장 등 진해지역 시민단체 대표자들은 4일 창원시청 기자회견에서 "통합시정을 평가한 여론조사 결과는 조사기관마다 결과가 달랐고, 심지어 진해구에서는 진해를 되찾아와야 한다는 요구도 많다"고 주장했다.
희망진해사람들이 4일 창원시청에서 창·마·진 통합1주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. /김구연 기자 |
창원시가 경남리서치에 의뢰해 시민 10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, 통합 1년 시정에 대해 '긍정(51.8%), 부정(22.6%), 잘모름(25.5%)' 등으로 답한 결과를 염두에 둔 것이다.
진해 시민단체들은 주장의 근거로 통합 이후 폭등한 집값과 전월셋값, 물가 상승률과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교육 격차 등을 제시했다.
이날 양재종 희망진해사람들 사무국장은 "저의 경우 통합 전에 1억 1000만 원 하던 전셋값을 지금은 2억 원으로 올려 냈다"고 밝혔다. 통합 전 1억 2500만 원 하던 전셋값을 2억 원으로 올려낸 사례도 제시했다.
이들은 "부동산 업자면 누구나 통합 탓이라고 한다. 집 있는 사람이야 좋겠지만, 집 없는 서민들에겐 고통이 될 수밖에 없다"고 밝혔다.
세 도시 간 교육 격차에 대해서는 "진해시민들은 누구나 통합에 따라 취약한 교육 여건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성과가 없었다"고 지적했다.
결국, 이들은 "문제의 근원은 창원시 행정의 중심이 여전히 구 창원에 머물러 있기 때문"이라고 주장했다. "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본래대로 행정구역을 되돌리든지, 아니면 청사를 약속대로 진해나 마산으로 옮기는 방법 외에는 없다"는 논리였다.